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.
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,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.

서울 버스 1119

덤프버전 :

||


파일:1119번선일.jpg

1. 노선 정보
2. 개요
3. 역사
4. 특징
4.1. 일평균 승차인원
5. 연계 철도역
6. 둘러보기


1. 노선 정보[편집]


파일:서울특별시 휘장_White.svg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1119번
[ 지도 노선도 보기 ]
파일:서울 1119 노선도.svg
기점서울특별시 강북구 수유동(강북청소년수련관)종점서울특별시 도봉구 창동(녹천역)
종점
첫차04:40기점
첫차05:25
막차23:35막차00:10
평일배차6~9분주말배차토요일 7~11분 / 공휴일 8~12분
운수사명선일교통인가대수20대[1]
노선강북청소년수련관 - 국립4·19민주묘지 - 수유2동주민센터.우이시장 - 광산사거리 - 수유역.강북구청 - 숭미초등학교 - 방학3동주민센터 - 방학동신동아아파트 - 방학사거리 - 자운고등학교앞 - 창동역 - 창동주공19단지 - 녹천역
* 밑줄 친 구간은 양방향 모두 같은 정류장에 정차하므로 행선지를 확인하고 탑승바람.


2. 개요[편집]


선일교통에서 운행하는 지선버스 노선으로, 왕복 운행거리는 20.731km다. 전체 정류장 목록


3. 역사[편집]


  • 구 423번 지역순환버스(아카데미하우스 - 창동역)가 전신이다.

  • 2004년 7월 1일에 서울 시내버스 개편때 번호가 1119번으로 바뀌었다.

  • 강북01번과의 중복을 이유로 2006년 9월 18일에 '아카데미하우스 - 강북청소년수련관'이 단축되었다.

  • 2013년 6월 29일에 4대가 감차되어 같은 날에 연장된 1126번에 투입되었다.

  • 2013년 9월 26일에 '창동역 - 창동주공18~19단지 - 서울외고 - 녹천역'이 연장되었다. 관련 공지사항

  • 2018년 11월 9일부터 창동역 고가 하부 문화예술공방 조성으로 인해 녹천역 방향 운행 시 창동역 동측(10265) 정류장에 정차하지 않으며 곧장 직진한다. 기존 녹천역방향 정류장에는 강북청소년수련관 방면 차량이 정차한다.

  • 2019년 11월 8일을 기해 본해 평일/토요일/공휴일 98분이던 인가 운행소요시간이 100분으로 늘었고, 평일/토요일 정상운행차량의 대당 일 운행횟수가 감축되면서 평일/토요일의 1일 총 운행횟수도 각각 14회/12회 감회되었다. 공휴일 운행횟수는 변동 없음. 이번 운행계통 변경에 따라 배차간격도 평일/토요일 5~9분, 공휴일 5~10분으로 조정되었다.관련 공문

  • 2020년 1월 6일을 기해 예비차 2대가 유상감차되었다. 감차된 차량들이 평일에 정상운행차량의 형태로 운행하는 예비투입차량이었으므로 평일의 1일 총 운행횟수가 18회 감회되었으며, 같은 날을 기해 1대 있던 토요일 단축운행차량의 감축과 공휴일 정상운행차량의 대당 일 운행횟수 감축이 병행되면서 토요일/공휴일의 1일 총 운행횟수도 각각 5회/11회 감회되었다. 다만 이번 감차 및 운행계통 변경에 의한 배차간격 변동 수준은 미미할 것으로 예상된다.관련 공문

  • 2020년 9월 14일을 기해 평일/토요일/공휴일 정상운행차량의 대당 일 운행횟수가 감축되면서 1일 총 운행횟수도 평일 6회, 토요일/공휴일 각각 5회 감회되었다. 다만 이번 운행계통 변경에 의한 배차간격 변동 수준은 미미할 것으로 예상된다.관련 공문

  • 2023년 2월 1일을 기해 예비차 1대가 감차되어 8101번에 투입되었다. 다만 비투입 예비차량 감차이기에 이번 조치에 의한 운행횟수 및 배차간격 변동 발생은 없다. 관련 공문

  • 2023년 11월 20일을 기해 전일에 걸쳐 100분이던 인가 운행소요시간이 평일/토요일 120분, 공휴일 100분으로 조정되었다. 또한 전일에 걸쳐 정상운행차량과 단축운행차량의 대당 일 운행횟수가 감축되어, 평일 단축운행차량 2대 중 1대가 정상운행차량으로 전환되었음에도 평일/토요일/공휴일 각각 172회/153회/144회던 1일 총 운행횟수가 162회/141회/133회로 각각 10회/12회/11회 감회되었다. 이번 운행계통 변경에 따라 평일/토요일/공휴일 각가 6~8분/6~9분/7~9분이던 배차간격이 6~9분/7~11분/8~12분으로 확대 조정되었다. 관련 공문


4. 특징[편집]


  • 광산사거리, 쌍문동, 방학동 주민들이 근처 역까지 출퇴근하는 목적으로 이용하거나, 세그루학원(선덕고등학교, 세그루패션디자인고등학교), 자운고등학교 학생들이 통학을 위해 애용한다. 바로 앞에 서진 않아도 서울문화고등학교(구 도봉정보산업고등학교) 근처에도 서서 이 학교 학생들도 애용한다. 수유역에서 창동역까지 직통 도로가 아닌 광산사거리와 쌍문동 거주지를 빙 둘러 가서 두 역 사이를 오갈 목적이라면 지하철을 타는게 훨씬 빠르다. 어디까지나 거주지에서 역으로 연결해주는 데 그 의의가 있다.

  • 방학로에서 창동역까지 가장 빠르게 연결한다.

  • 광산사거리에서 수유역을 갔다가 다시 광산사거리로 빠져나오므로, 수유역에서는 같은 정류장에 양 방향 차량이 모두 정차한다. 4.19탑 방향은 파란색으로, 창동과 녹천역 방향은 빨간색으로 표시되어 있다. 4.19탑 방향 버스는 창동, 녹천역 방향 정류장보다 약간 뒤쪽에서 정차하는 것으로 바뀌었다. 임시로 둔 것 같은 표지판에도 방향이 표시되어 있다. 물론 깜빡하고 안 돌릴 때도 많으니 웬만하면 물어보고 타자.
강북청소년수련관 방향녹천역 방향
수유역
4ㆍ19국립묘지
수유·창동역
녹천역


  • 대개편 당시와 비교하면 1126번 증차 및 유상감차에 따라 6대가 감차되었고 대당 운행횟수와 전체적인 운행횟수가 많이 줄었다.

  • 차고지 진출입로의 물막이턱으로 인한 하부마찰 문제로 저상버스 투입 의무화 대상에서 제외됐다.

  • 2023년 국민은행 방학지점이 폐점했다. 우이신설선 도당역이 착공될 때까지 국민은행 정류장으로 임시로 유지될 것이다.


4.1. 일평균 승차인원[편집]


서울특별시 지선버스 1119번
연도일평균 승차량전년대비 변동폭
2013년15,091명-
2014년14,141명▽ 950
2015년14,145명△ 4
2016년13,601명▽ 544
2017년13,048명▽ 553
2018년12,201명▽ 847
2019년11,623명▽ 578
2020년7,957명▽ 3,666
2021년8,118명△ 161
2022년9,095명△ 977
※ 하차 인원 미포함


5. 연계 철도역[편집]




6. 둘러보기[편집]



파일:노란바탕휠체어빗금.svg
파일:서울특별시 휘장_White.svg 서울특별시 저상버스 예외 (가)승인 노선
[ 펼치기 · 접기 ]

103104172774
0017101410171114
1119112211261129
1130113111331136
1137114111421143
1162116412211226
2113211421154318
4433551956216617
6624664966547024
77268003
{{{-2 비고 * 2023년도 기준 38개 노선 * 시설개량 및 의견수렴 후 2024년도 재검토 예정
* 4318번은 풍납동 소속 차량만 해당}}}




파일:CC-white.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-12-03 04:19:57에 나무위키 서울 버스 1119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.


[1] 토요일 18대 / 공휴일 16대 운행[2] 미개통